[데스크 칼럼] 학여불급 유공실지
[데스크 칼럼] 학여불급 유공실지
  • 최춘식 기자
  • 승인 2007.05.09 1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여불급(學如不及) 유공실지(猶恐失之). 이 말은 학문을 하는 태도를 말한 것이다. 즉 새로운 것도 중요하지만 배운 것을 복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말로 해석된다.
현대를 사는 사람들은 자기의 전공이 무엇인지 도무지 알수 없을 정도로 생활하고 있어 그 안타까움은 더해만 간다. 어찌하여 자기가 배운것을 다 내버리고 전혀 관계없는 비전공을 직업화 하는 것일까? 차라리 그것은 보아줄 만하다. 어떤 사안에 대하여 전문가의 말을 부정하고 전혀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반문해 일을 그르치는 수도 주변에서 얼마든지 볼수 있다.
뜻이 커서 진취의 기상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체로 솔직하여 부정한 일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큰뜻을 가진 사람이 정직하지 못한다면 매우 큰 문제라 아니할수 없다. 재능이 많고 마음이 클수록 나쁜짓을 하게되면 그렇치 않은 사람보다 더욱 큰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지혜가 없는 사람은 대체로 그 성격이 순후하다. 그렇기 때문에 큰실수 없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다.
만약 지혜가 없는 사람이 성격조차 순후하지 않아서 모든 일을 행함에 조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그리고 재능이 없는사람이 진실하지 않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그들이 얼마 나아가지 못하여 무너지게 됨은 말할 것도 없다. 뿐만 아니라 남에게까지 피해를 줄수도 있다. 인간적으로는 바라볼래야 바라볼수 없는 딱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공자께서도 그런류의 사람들을 도저히 이해할수 없다고 한 것이다.
이 문장을 달리 해석할 수도 있다. 광적이면서 정직하지 않고 멍청하면서 성실하지 않고 재주가 없으면서 착하지않은 사람은 나는 가르칠 방도를 알지 못하노라. 여기에서 광적이라 함은 열광적·정열적이란 뜻이다. 그러나 이렇게 풀이하자면 완전히 제자들을 두고 한 말이 된다. 사람에게는 일장 일단이 있기 마련이다. 즉, 누구에게나 단점이 있으면 반대로 장점도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장점은 없고 단점만 있다면 공자인들 어떻게 가르칠 수 있겠는가.
현대사회는 공부만 잘한다고 모두는아니라고 한다. 또 시대가 어떤 특기를 살려 앞날을 보장하여 주기에 한가지만 잘한다면 그사람은 세상을 어렵지 않게 살수가 있다고 본다. 그 어떤 한가지를 잘하기 위해서는 자기가 배운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바로 제목에서 말한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 그렇게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좋아하는일에 몰두하게 되고 한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다 보면 바로 그것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모든 일에는 시기와 때가 있는 법이다. 학창시절에 열심히 배우고 닦아 후일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게될때 반드시 필요로 하는 그날이 있을것을 나는 확신하고있다. 우리 모두는 자기 하는일에 최선을 다하고 내가 아니면 그 누구도 할수 없다는 그러한 사고는 일찍 버려야 할것이며, 아울러 남이 잘하는 남의 전공에는 그를 인정할 줄아는 신사도를 지켜줄때 자기 자신이 발전할 것이라 믿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