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일논단] 대학 입학사정관제 해결책은 없을까?
[충일논단] 대학 입학사정관제 해결책은 없을까?
  • 서세진 부장 당진 주재
  • 승인 2012.08.29 1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지적 장애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에 연루되었던 A학생이 입학사정관제 리더십 전형을 통해 지난해 성균관대학교에 입학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사실 입학사정관제가 부정입학으로 도마 위에 오른 것은 비단 이번만이 아니다. 당장 지난달에만 해도 허위경력으로 대학에 합격한 학생이 적발되었고, 2008학년도 도입 이후 입시철마다 관련 사건이 연일 보도되어 왔다. 이쯤되니 제도가 유지되는 것이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능 중심 입시제도를 탈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에 따르면 대학이 입학업무만 담당하는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이 학생부 등 성적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뿐 아니라 개인 환경, 특기, 대인관계, 논리력, 창의력 등 잠재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학생의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수능, 내신과 같은 객관적인 점수는 최소한으로 반영되고 학생의 가능성과 같은 입학사정관의 주관적인 판단이 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를 보면 입학사정관제가 숫자에 움직이는 우리나라 대학입시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제도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교육계에서는 입시에 치중한 사교육을 처치할 수 있는 힘을 실어주고 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일로 대학에 갈 수 있는 길을 얻은 셈이다.
그리고 정부의 빠른 추진에 힘입어 입학사정관제는 막대한 예산과 함께 시행되었다.
2008년 시행 이후 지금, 제도는 큰 기둥을 이루는 평가기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의심받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중요한 평가요소는 서류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자기소개서부터 봉사활동 이력까지 조작해주는 사교육 시장이 등장하였고, 최근의 사건에 비추어보면 고등학교에서 제시하는 추천서도 믿기 힘들어졌다. 대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있어야 할 신뢰가 깨어진 것이다.
한편 학생들 사이에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부나 수능의 성적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봉사활동의 시간이 많거나 면접을 잘보면 원하는 대학에 입학할 수도 있다’는 환상에 젖게 한다. 이러한 환상이 수험생과 학부모가 거짓 이력을 만들어주는 브로커나 사교육에 의존하게 된 까닭이 아닐까. 애초에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를 평가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 대학입시에 혈안이 되어 있는 우리 사회에 적합한 제도였는지에 대해 의문까지 든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각 대학에 거짓 자기소개서를 감별하기 위한 표절 검색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도 어디까지나 미봉책일 뿐이다. 모든 일에는 빛과 어둠이 있기 마련이지만 2013학년도 입시가 시작된 만큼 위와 같은 의문으로 입학사정관제가 어둠에 집어삼켜지기 전에 교육계의 단호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