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건설사 부도 막을 대안 필요하다
[사설] 건설사 부도 막을 대안 필요하다
  • 충남일보
  • 승인 2012.09.05 1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상장 건설사의 절반가량이 상반기에 적자를 내고 중소건설사들의 부도위기가 한계를 넘어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같은 위기증폭은 건설시장의 침체와 주택가격의 하락이 중심에 있다. 시공능력 순위 100위권 건설업체 중 이미 20여 개 회사가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에 내몰리면서 건설업계가 ‘비상 상황’에 빠졌다.
특히, 해외수주 실적이 저조한 중소형 건설사들의 재무 건전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며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미분양 주택이 누적된 상황에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연대보증으로 채무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더구나 건설사들은 주택사업과 관련한 PF 우발채무가 현실화되면서 대다수 건설업체의 운전자본 부담이 확대되고 있으며 몇몇 건설업체는 PF 우발채무의 연장에 실패하면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는 건설업체의 PF 우발채무 해소 노력에도, 토지비를 포함한 사업비 전액을 외부 차입에 의존하는 시행사로 인해 실질적 위험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데다 금융기관은 시행사의 신인도만으로 PF 대출을 할 수 없어 건설업체 신인도에 의존한 것이 원인이다.
문제는 부동산 개발사업에 자본이 유입돼야 건설업체의 PF 우발채무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이 역시 어려워지면서 시공능력 순위 100위 안에 들어간 회사들도 부도 위험에 서서히 죽어가는 분위기여서 이대로 1, 2년만 지나면 유동성 위기로 바뀔 위험이 있다.
문제는 자금이다. 주택사업 쪽이 안 좋고 해외 분야도 2010년까지 좋았다가 그 이후로 위축되는 추세여서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때문이다.
더구나 기존 사업으로부터 사업 수익금 회수가 부진한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건설업계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재무구조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부담이다.
이런 추세가 장기화될 경우 건설업황의 전반적 침체로 중소 건설사들이 먼저 쓰러질 것이 우려된다. 중소형사는 해외사업을 추진하더라도 가격 경쟁에서 중국 업체에 밀리고 기술력도 약하기 때문에 문제이고 그나마 국내 주택시장도 침체된 상태여서 물량 확보가 어려워지자 경쟁이 치열해져 매출은 성장하지만 영업익은 줄어드는 재무건전성 악화가 가속되고 있다.
국내 산장건설사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건설사 33개 가운데 42.4%에 해당하는 14곳이 상반기(1∼6월)에 순이익에서 적자를 나타냈다. 이 기간에 가장 큰 순손실을 본 건설사는 금호산업으로 순손실액이 4998억원에 달했다. 벽산건설 4595억원, 삼환기업 1851억원, 남광토건 1039억원, 범양건영 788억원, 한일건설 622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처럼 재정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인 대형 건설사의 전망도 어둡다면 중소 건설사의 상황은 더욱 위태롭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건설사들로 인한 도미노 도산 등 대비책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