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시급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시급
  • / 서울 = 유승지 기자
  • 승인 2013.03.17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세대 산학협력단 정부 용역보고서에서 밝혀
“전통시장 농축산물 가격의 43%는 유통비”
“대형마트, 유통비 낮지만 관리비 40% 육박”


박근혜 대통령이 사실상 취임 일성으로 언급한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선 무엇보다 전통시장의 구조 개편이 시급하다는 정부의 용역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형마트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가격 거품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지만 관리비가 제품 가격의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연세대 산학협력단(책임교수 오세조)이 지식경제부에 제출한 ‘유통산업 구조개선을 통한 물가안정방안 연구’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전통시장에서 농축산물 유통비용은 평균 소비자가의 43.4%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협력단은 소비자 지불가격을 100으로 놓았을 때 농가가 가져가는 비용은 이 가운데 56.6, 출하단계 유통비용이 11.8, 도매단계 비용 9.6, 소매단계 비용 22.0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전통시장에서 판매되는 농산물은 유통과정에서 많은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최종 소비자 가격에서 유통비 비중이 매우 높다.”며 “축산물의 유통 단계는 4∼5단계로 비슷한 수준이지만 한우는 평균 20.5%, 육우 17.2%, 돼지 30.2%, 닭고기 52.8% 등 상이한 마진율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산물이 전통시장에서 팔리기까지는 기본적으로 생산자, 산지 유통인, 도매시장, 중간도매상, 소매상에 이르는 단계를 거친다.
축산물은 생산자가 우시장이나 생산자단체 등 중간상인을 거쳐 도축장에 넘기고 이어 도매상과 육가공 공장 등을 지나 소매상에 이르는 구조다.
반면 대형마트는 신선식품 상품군을 직접 매입하는 경우가 사실상 대부분이어서 물류비를 제외한 유통비용이 거의 없다.
신선식품의 물류비용은 마트 판매가의 10∼20% 안팎이다. 단순히 비교하면 전통시장에서 농수산물 소매가에서 유통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형마트에 비해 많게는 4배에 달하는 셈이다.
다만 대형마트는 유통비 자체는 크지 않지만 전체 가격 가운데 농축산물의 손상이나 시세 변동 등에 따른 손실비용이 10∼20% 포함됐고, 별도의 판매 관리비도 15∼20% 책정해 관리비가 소매가의 40%에 육박했다.
보고서는 “전통시장은 복잡한 유통경로와 영세한 규모로 인한 낮은 구매력 때문에 불필요한 유통마진이 생겨 다른 업태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상인회를 통하거나 같은 업종 상인들이 연합하는 공동구매 방식으로 구매력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통시장 상인의 상품 매입과 운영은 개인의 경험에 의존해 이를 공개하려는 의지가 매우 약하다.”며 “전통시장별 상인조합을 구축하고 시장연합회를 설립하는 등 시장의 자율적인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형마트의 경우 판매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 현재의 중소상공인과 상생 방안을 거스르지 않는 수준에서 새로운 사업 모색을 통한 영업이익 확대가 필요하며, 온라인 사업 등이 새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국내 유통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선 전문 벤더를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대기업이 도매물류 기능의 절반 이상을 장악한 상황에서 전문 도매나 도매 물류 벤더를 육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지만, 중소업체를 위한 전문벤더의 육성을 더는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전문 벤더에 대한 실태조사와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협회 설립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