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취업난, 국가 위기로 보고 최선 다해야
[사설] 청년취업난, 국가 위기로 보고 최선 다해야
  • 충남일보
  • 승인 2017.04.11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엔 청년취업난이 더 심해질 것 같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 500위 내 대기업의 ‘올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한 200곳 중 18곳(9%)은 ‘뽑을 계획이 없다’, 27곳(14%)은 ‘작년보다 줄이겠다’고 했다.
작년 동기 조사에서는 ‘뽑을 계획이 없다’가 1%, ‘줄이겠다’가 11%였다. 그렇지 않아도 ‘바늘구멍’같은 대졸자 취업 관문이 더 좁아질 것 같아 걱정이다.
청년취업난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월평균 9.8%로 사상 최악이었다. 실업자 통계에 잡히지 않는 취업 준비생이나 구직단념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청년 실업률이 30%를 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청년 고용보조지표의 현황과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을 34.2%로 추정했다. 월별 청년 실업률을 봐도 지난 2월 12.3%로, 작년 동월(12.5%)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취업 준비생의 한 축인 ‘공시족(공무원 시험 준비생)’도 계속 늘고 있다. 지난 8일 치러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에는 17만274명이 지원해 작년보다 3.7% 늘었다. 이는 1년 만에 역대 최대 응시 인원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이런 상황이 빚어지는 것은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는 영향이 크다. 경제의 체력이 떨어져 청년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경제 성장률은 2013년의 3.3%를 빼면 최근 5년간 2%대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게다가 공장 자동화 같은 생산 구조의 변화로 경제 성장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크게 떨어졌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 1%당 취업자가 10만 명 가량 늘 것으로 추정했는데, 5년 전인 2012년에는 성장률 1%당 19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됐다. 인구 구조상 앞으로 3∼4년은 청년취업난이 풀리기 어렵다는 관측이 있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자녀 세대가 2020년까지 노동시장에 대거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것 하나 단숨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렇다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늦출 수는 없다.
먼저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제대로 방향을 잡은 것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박근혜 정부 들어 3년간 일자리 예산을 43조 원이나 쏟아부었는데도 청년취업난은 되레 악화했다. 기업도 대졸자 등 청년 취업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일자리 창출에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가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춰 다양하고 효과적인 인센티브 정책을 펴는 것도 필요하다.
아울러 직장을 구하지 못해 좌절한 청년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북돋워 주는 범사회적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지금의 청년취업난에는 인구 구조상 불가피한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청년들도 취업난에 절망하지 말고 일단 눈높이를 낮춰 고용시장이 호전되기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희망과 용기를 갖고 지금의 어려움을 굳세게 극복해야 미래의 꿈도 키울 수 있을 것이다.[충남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