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중 칼럼] 보국안민(保國安民)의 대통령을 기대한다
[김강중 칼럼] 보국안민(保國安民)의 대통령을 기대한다
  • 김강중 선임기자
  • 승인 2017.05.09 20:1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로소 우리는 새 대통령을 맞았다.
대통령 궐위로 강대국들은 마치 사생아 대하듯 한반도를 멋대로 흔들어 댔다.
심지어 동남아 국가들도 못난 대통령을 뽑았다고 우리를 조롱했다.
그렇게 수모의 6개월을 보내고 마침내 대통령을 선출했다. 폭군 뒤에 성군(聖君)을 기대하는 심정으로 19대 대통령을 선출한 것이다.

짧은 대선 기간 탓으로 전략투표를 했는지, 소신투표를 했는지 알 수는 없다. 다만 후보 간 야합이나 중도 낙마자가 없어 보기 좋았다.
하지만 무려 13명이 난립해 꼴뚜기가 뛰니 망둥이가 뛰는 그런 형국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가능성은 신선했다. 엄선한 5명의 TV토론도 와각지쟁(蝸角之爭)이어서 아쉬움이 컸다. 무능한 대통령을 뽑아 조기대선을 치른 만큼 신중했고 투표율도 높았다.
하지만 갑질 일색의 후보 면면을 살펴봐도 ‘성군’은 없어 보였다. 다만 시대와 상황이 녹록지 않아 그만큼 ‘성군’을 갈망했고 고민도 컸다.

그렇다고 투표 한 번 잘해서 70년 적폐가 해소될거란 기대는 갖지 않았다. 선거과정에서 후보들의 일자리 창출과 공동개혁에 대한 대안은 공감을 주었다.
반면 미래에 대한 대안보다는 이념, 지역,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하는 모습은 볼썽이 사나웠다.
그저 ‘내가 너보다’는 덜 나쁘다는 구태의 네거티브 전략은 식상했다. 고질의 지역주의로 표를 구걸하는 행태도 여전했다. 패거리 정치에 매몰된 후보는 위선과 거짓의 선동으로 국민을 기만했다. 또 어느 후보의 토론과 인터뷰는 잡배 수준에 다를 바 없어 측은함 마저 들었다. 지역주의와 ‘보·혁’의 낡은 프레임은 선거기간 내내 씁쓸했다.

국회의원의 예를 들자면 초선인 경우 나름 의욕을 보이며 의정활동에 매진한다. 그러나 재선, 3선만 되면 ‘기이한 정치인’으로 변질되는 것이 국회의 모습이다.
당선되고 나면 지역민의 기대에 반하는 행태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랬던 중진급 의원들이 대한민국을 바꾸겠다하니 진정성이 의심스럽다.
또 얼마나 많은 상처와 실망으로 국민들을 낙담케 할 것인가. 대통령을 한 번의 간선과, 일곱 번을 내 손으로 뽑았으나 속고 속았기에 하는 말이다.
그래서 촛불과 맞불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도 선뜻 동의하기가 어렵다. 어찌됐든 국민들은 지혜로운 선택으로 새 대통령에게 기회를 부여했다.

‘가화만사성’이듯 나라도 국민화합이 선결돼야 한다. 대통령은 촛불과 맞불로 갈라진 국민을 통합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사분오열의 국민들도 새 대통령 중심으로 일치단결 힘을 모아야 한다. 국제정세와 경제위기가 심각한 상황이어서 이전투구할 겨를이 없다.
망국의 역사는 늘 외부에 있지 않고 부패와 내분에서 촉발됐기에 더욱 그렇다.
새 정부는 서둘러 대탕평의 인사를 단행해야 한다. 나아가 수평사회의 공리를 위한 국론을 모아야 할 것이다. 어느 당(黨)이 이긴들 ‘여소야대’라 협치가 불가피하다. 그런 만큼 당파와 지역을 초월한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
2017년 5월 9일 ‘장미대선’의 선택, 희망 없는 청년들과 사회적 약자들의 여망에 부응했으면 한다.

우리 사회는 이념, 지역주의보다 세대 간 갈등이 심각하다. 불공정한 사회구조는 ‘7포세대’를 양산해 국가 경쟁력은 약화됐다.
언제나 투표가 세상을 바꿀 거라 기대했으나 정권만 잡고나면 변심하거나 오만함으로 국민을 실망케 했다.
엊그제 산불이 나도 매뉴얼과 컨트롤타워는 여전히 작동되지 않는 대한민국이다. 이제 비정상을 정상화로 돌려놓아야 한다. 적폐가 무엇이던가. 일만 터지면 에둘러대며 사후약방문 전수조사니 재발방지만 운운해 불신만 키웠다.
세월호가 그랬고 끊임없는 대형 사고는 부실공화국으로 전락했다. 가계, 기업, 정부 막론하고 6000조에 달하는 부채 해결도 새 정부의 큰 부담이 될 것이다.

원인을 찾자면 무능한 청와대와 정부, 국회, 여야의 정쟁과 대결구도가 나라를 이 꼴로 만들 었다. 여기에 기득권의 강고한 카르텔은 서민들의 삶을 벼랑 끝으로 몰았다. 그런 사이 ‘사자방’, 국정농단, 사드 도입 논란 등 국민 동의 없는 ‘독선’은 국운을 쇠잔케 했다.
새 정부는 당선증을 교부 받으면 임기가 시작된다. 공약대로 적폐의 타파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하지만 소위 기득권 세력의 저항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제는 물질 숭배의 저급함에 벗어나 품격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은 기득권 세력의 각성과 양보가 전제돼야 한다.
담보나 보증 없이 특권만 누리는 정치인, 그들만의 관료들, 이제는 국민을 겨냥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 사법부, 언론, 교육계도 본분으로 돌아가 바로서야 할 것이다.

패거리의 인치(人治)가 아닌 원칙과 상식, 법에 기초한 시스템과 컨트롤타워가 작동되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
새 대통령은 반대편에 선 국민들에게도 이해와 소통으로 다가가야 한다. 나라 안팎의 사정은 구한말과 같기에 국민총화가 시급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를 돌파하는 통솔력과 예지와 함께 국민을 포용하는 리더십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수일 전 마곡사에 있는 군왕대(君王垈)에 올라 성군을 염원했다. 난세에 영웅이 나온다고 하지 않던가.
더 이상 시대와 역사에 빚을 지는 지도자를 맞을 수는 없다. 경제 살리기와 국민의 안위를 반석위에 올려놓는 그런 대통령을 희망한다.[충남일보 김강중 선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백일 2017-05-19 18:19:44
좋은글에 감사^^ 늘 우리에게 공감의 메세지를 전달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