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타워 크레인 전복 토목 후진국형 사고다
[사설] 타워 크레인 전복 토목 후진국형 사고다
  • 충남일보
  • 승인 2017.12.11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용인의 한 물류센터 신축공사장에서 36층 높이의 타워크레인이 옆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타워크레인 위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이 지상으로 추락하는 바람에 3명이 숨지고 4명이 다치는 변을 또 당했다.
지난 10월 의정부 크레인 전도 사고 당시에도 해체를 위한 인상작업 중 크레인이 균형을 잃고 쓰러져 3명이 숨진 사례도 있었다. 이처럼 타워크레인 사고는 발생하면 곧바로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타워크레인 인상 작업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유압 장비로 기둥 마디를 들어 올릴 때 부품 결함이 있거나 건설 장비와 충돌하는 등의 외부 요인이 작용해 조금만 움직여도 크레인은 넘어진다.

타워크레인 작업은 숙련된 기술자들 간의 고도의 협업이 필요하다. 그만큼 더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지만 허술한 안전 관리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타워크레인 사고 원인과 안전 대책은 이미 분명하게 나와 있다. 타워크레인 사고 때는 나라 전체가 떠들썩할 정도로 관심이 컸고 온갖 대책도 쏟아 졌다.그럴 때마다 타워크레인 작업 시 충분한 인력 투입 의무화, 안전교육 책임 강화, 사고 재발 업체 퇴출 등을 포함한 처벌 강화 등 다방면에 걸쳐 강조한다.
얼마든지 막을 수 있는 안타까운 인재임에도 되풀이 되는 것은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타워크레인의 안전 관리에는 행정안전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 등 3개 부처가 관련돼 있으나 권한만 챙기고 의무는 뒷전이여 안전 불감증에 휩싸여 있디.

정부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잦은 타워크레인 사고의 재해 예방대책을 철저히 세워 타워크레인 사고가 더 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안전 대책은 건설 현장에서의 사고를 막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이해가 가지만 근본대책이 아니여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란 비판이 그래서 나온다. 현재 등록된 타워크레인 6000여대가 전국에서 작업 중이나 20년 이상 된 타워크레인이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복잡한 하도급 계약으로  관리의 사각지대인 곳이 타워크레인 시장이기도 하다. 또 큰 사고가 잇따르는데도 사고가 발생해도 대부분 벌금형에 머무는 것도 문제다.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에 국가기술자격제도도 도입해 전문성을 갖춘 인력 양성도 근본적 예방대책으로 빠질 수 없다. 눈가리고 아웅하던 종전의 대증요법과 달리 기존 관행과 구조적 요인까지 차제에 개선해야 한다
타워 크레인 전복은 전형적인 토목 후진국형 사고다. 세계적인 고층 빌딩 건설을 자랑하는 우리 건설업 수준과 맞지 않는다. 단순히 기술적 문제로 보기 어렵다는 추측이 가능하게 되는 부분이다.
아울러 관련 사고에 대한 신속한 조사결과 도출도 요구된다. 같은 문제점이 반복되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감독과 대책을 시급히 적용해야 되기 때문이다.[충남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