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지고, 어려워진' 국어 과학기술 지문 어떻게?… 고3, 3월 학력평가 활용법
'길어지고, 어려워진' 국어 과학기술 지문 어떻게?… 고3, 3월 학력평가 활용법
시간 배분법·긴장 해소법 등 '시험 오답노트' 만들기 등
보완책 찾고 남은 시험에 적용하면서 계속 수정해야
  • 이지수 기자
  • 승인 2018.03.28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일보 이지수 기자] 3월 학력평가 성적표를 받아 든 학생들 중에는 그 결과에 만족하는 학생도, 울고 싶은 학생도 있을 테지만 3월 학력평가로 대입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 시험을 통해서 나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2018년 3월 학력평가 결과와 결과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2018년 3월 학력평가 결과

많은 학생들이 3월 학력평가를 마치고 국어 영역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원점수 기준 1등급 커트라인 81점, 2등급 커트라인 74점으로 지난 5년간의 3월 학력평가 중 가장 낮은 1, 2등급 커트라인을 형성했다. 또, 오답률 70%가 넘는 문항도 4문항이나 되었다. (2017년 0문항, 2016년 1문항, 2015년 A, B형 각 1문항씩 / EBS 발표 기준)

이 문항은 문법 1문항, 비문학 중 과학기술 주제 3문항으로 그 동안 학생들이 까다로워 했던 유형과 일치한다. 단, 이전 3월 학력평가와의 차이는 과학기술 주제의 문항 수가 총 10문항으로 2017년 6문항, 2016년 3문항, 2015년 A형 7문항, B형 2문항 등 과거 년도에 비해 크게 늘어 났다는 점이다. 어휘와 관련된 문항이 2문항 출제되었지만 그럼에도 가장 많은 문항 수를 보였다.

올해 3월 학력평가 과학기술 지문의 경우 지문의 길이가 길고 내용이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아, 문제를 풀이할 때 다시 지문 속의 정보를 확인하면서 풀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생겨, 해당 유형 문제뿐 아니라 다른 문제의 정답률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3월 학력평가 국어 커트라인(원 점수) 및 과학기술 주제 문항 수]

연도

분류

2018

2017

2016

2015

2014

A

B

A

B

과학기술 문항 수

10문항

6문항

3문항

7문항

2문항

6문항

2문항

1등급 cut

81

93

90

95

96

96

95

2등급 cut

74

85

84

90

91

92

90

3등급 cut

65

76

76

83

84

86

82

*출처 : 서울시교육청(2018.3.27 확인)

 

국어와 달리 수학(가)형은 과거에 비해 등급 커트라인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고, 수학(나)형은 예년보다 다소 하락했다.

 

3월 학력평가 수학(가)형 중 높은 오답률을 나타낸 문항은 80%대 1문항, 70%대 1문항인데, 1등급 커트라인이 같은 92점(원 점수)이었던 지난 2018학년도 수능의 경우 90%대 2문항, 70%대 1문항, 2017학년도 수능의 경우에는 90%대 1문항, 80%대 1문항, 70%대 2문항(EBS 발표 기준)이었다. 이를 응시자들의 학업능력의 향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올해 수학(가)형 문항이 깊은 사고력을 요하기 보다는 개념의 정의를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평가했기 때문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절대평가 영역인 영어와 한국사는 어땠을까?

영어는 1등급 성취학생이 5.41%, 2등급 10.7%, 3등급 13.61%로 지난 수능뿐 아니라 작년 3월 학력평가와 비교했을 때에도 상위 등급 성취 학생 비율이 줄었다. 3월 영어 문제의 난도가 절대평가 이전과 비교했을 때 쉬워지지 않았지만, 수험생들은 영어 학습 비중을 다른 영역에 비해 적게 가져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사도 마찬가지이다. 난도 자체는 어려운 것이 아니지만, 학습량의 부족으로 좋은 등급을 받는 학생이 적은 편이다. 3학년 수업에 한국사를 배정하여 꾸준히 접할 수 있게끔 하는 고등학교들도 상당 수 있지만, 이 외에도 본인의 노력이 조금 더해질 필요가 있다.

물론 수능에서 영어와 한국사가 어떻게 나올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실제로 수능 영어가 작년 수능과 같이 10%대의 1등급 비율을 가져가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쉬울 것이다’라고 예상하고 대비하는 경우 작년 수능 한국사와 같이 크게 당황스런 경우도 생긴다. 한국사는 작년 6월의 경우 3등급 이상 학생의 비율이 55.03%, 9월에는 63.01% 였지만 수능은 35.04%에 불과했다. 이와 같은 일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영어와 한국사 역시 꾸준히 학습해야 한다.

 

[영어, 한국사 1,2,3등급 성취 인원 비율 비교]

시행

등급

2018 3

2018학년도 수능

2018학년도 9

2018학년도 6

영어

한국사

영어

한국사

영어

한국사

영어

한국사

1등급 비율(%)

5.41

2.62

10.03

12.84

5.39

35.96

8.08

21.85

2등급 비율(%)

10.7

3.95

19.65

9.98

12.35

14.65

14.25

16.77

3등급 비율(%)

13.61

7.47

25.43

12.22

17.70

12.40

19.83

16.41

29.72

14.04

55.11

35.04

35.44

63.01

42.16

55.03

* 출처 : 서울시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3.27 확인)/ ‘2018학년도시험은 2017년에 시행

■ 3월 학력평가 활용법

3월 학력평가는 수능의 가늠자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 수학의 경우 수능 범위와 크게 다르고, 과학탐구 II 영역은 출제되지 않으며, 졸업생들이 응시하지 못하는 시험이고, 고3 학생들의 경우 모의고사 연습을 충분히 하지 못한 채 치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3월 성적으로 정시지원 가능 대학 군을 뽑아 보거나, 수능최저학력기준의 충족을 추정해 수시지원 전략을 세우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번 3월 학력평가는 수능성적을 예상하는 잣대로 활용하기 보다 수능을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시험을 치르며 나타난 부족한 점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누구나 국어에서 과학기술 지문을 까다로워 하는 것이 아니고, 수학에서 같은 단원을 어려워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이에 학생들은 본인만의 오답노트를 만들 필요가 있다. 틀린 문제를 복사해서 붙이고 그에 대한 해설을 쓰는 오답노트가 아니라, 다음 모의고사에서 이번과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면 어떤 문제 풀이 습관을 들여야 할지, 시간 분배의 어려움을 겪었다면, 모르는 부분이 많았다면, 긴장감을 해소하려면, 시험시간 중 졸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시험 자체에 관한 오답노트를 정리해야 한다.

어려운 문제보다 쉬운 문제를 실수해서 틀리는 경우가 많다면, 그만큼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쉬운 문제를 빨리 풀어야 어려운 문제에 투자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고 생각해서 빨리빨리 넘기느라 실수가 있을 수 있고, 또는 문제를 대충 읽고 그 의도를 정반대로 파악하여 생기는 실수가 있을 수 있다. 또 여러 가지 유형이 있겠지만, 전자라면 전체 시험시간에 모든 문제를 다 풀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시간을 일정 단위로 끊어서 문제 풀이 계획을 세워 볼 필요가 있다. 후자라면, 평소 문제 풀이 시에 정답을 고른 후 다시 문제를 읽어 ‘옳은 것’을 고르는지,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이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평가팀장은 “앞으로 수능까지 다섯 번의 연습 기회가 남았다. 혼자서 모의고사 연습을 해볼 수도 있지만, 이 다섯 번의 시험만큼 실전에 가깝게 연습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기회를 소중히 여겨야 하며, 3월 모의고사를 통해 찾은 보완책을 남은 시험에 적용하고 또 계속해서 수정 적용해 나간다면 수능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