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시론] 편의점 상비약 판매, 소비자만 불편
[충남시론] 편의점 상비약 판매, 소비자만 불편
  • 임명섭 주필
  • 승인 2018.08.22 1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얼마 전 집에 들어가던 중에 갑작스런 설사 증세로 집 근처 약국을 찾았다.

저녁 8시 무렵이었는데 약국 문이 닫혀 있었다. 병원이 모여있는 곳에 위치한 약국은 병원 진료 시간에 맞춰 모두 문을 닫기 때문이다.

이런 경험은 비단 필자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닐 것이다.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동네 약국들은 병원 문을 닫는 시간에 맞춰 문을 닫는다.

안전상비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는 소비자의 의약품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목적으로 정부가 2012년에 도입했다.

주로 가벼운 병증이나 응급 시 환자 스스로 판단해 사용할 수 있는 품목 중 성분, 부작용, 인지도, 구매의 편의성 등을 고려했다.

약국이 문을 열지 않는 심야시간이나 휴일에 소비자들의 의약품 사용에 대한 불편을 완화시키기 위한 취지로 도입된 제도다.

24시간 연중무휴 편의점에서 판매돠는 안전상비의약품은 제약 회사 부터 약국 판매용과 달리 포장단위나 용량을 낮춰 별도로 제조하고 있다.

또 편의점에서는 상비약에 대한 설명이나 복약지도를 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된 안전상비약품 코너에서 소비자가 직접 약을 선택하고 있다.

때문에 편의점은 병원과 약국이 문을 닫아도 안전상비약품을 팔고 있어 사회안전망애 큰 역할을 한다.

특히 도서 벽지 및 농어촌 지역의 경우 안전상비의약품은 응급상황을 대처하는데 효과가 크다. 장애인과 노약자 등 이동이 어려운 ‘교통약자’들에게도 안전상비의약품 구매 편의 제공은 환영받고 있다.

그럼에도 최근 5년 평균 전체 편의점 매출의 0.18%에 불과한 안전상비약 판매를 두고 ‘대기업의 탐욕’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세상의 어떤 부모가 젖먹이에게 맞지 않는 안전상비약을 먹일까? 약사회의 반대 논리가 너무 비약적이고 궁색하지 않는가?

약사회의 주장처럼 그렇게 부작용이 우려되는 약이라면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어째서 슈퍼나 마트에서도 판매를 허용하고 있을까?

안전상비약도 약사의 복약지도가 필요한 약은 부작용을 고려해 판매를 막아야 한다는 약사회의 논리는 맞다. 하지만 약대 교수 등 전문가들의 안전상비약의 편의점 판매에 대한 견해는 다르게 얘기하고 있다.

약사회 주장대로 국민건강을 위해 전문직의 양심과 사명감으로 품목 확대를 반대한다면 소비자의 한 사람으로도 이해는 된다.

그러나 안전상비의약품이 안전성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다면 해당 약품의 판매를 금지시키고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전환하는 것이 옳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안전상비의약품 확대를 바라는 소비자의 요구를 겸허히 받아들어야 한다.

편의점협회는 “같은 약이라도 약국에서 팔면 안전하고 편의점에서 팔면 부작용 위험이 크다고 주장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반박했다. 약사들의 ‘밥그릇 지키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오고 있다.

편의점 상비약 판매 품목 확대는 국민 편의성 증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러려면 약사들의 양보도 필요하지만 복지부의 눈치 보기 행정을 그만하고 조속한 결론 도출에 힘쓰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