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 혁신도시가 답이다] ② '대전·충남에만 없는' 혁신도시 어디에
[내포 혁신도시가 답이다] ② '대전·충남에만 없는' 혁신도시 어디에
전국 11개 시·도에 10곳 조성, 지역산업 육성 '가속도'
"내포, 환황해권 중심도시 육성" 공약 실현 필수조건
  • 최솔 기자
  • 승인 2019.02.27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일보 최솔 기자] 수도권 지역과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를 제외하면 혁신도시가 없는 지역은 충남과 대전 뿐이다.

혁신도시가 조성된 곳은 전국 11개 시도에 10곳. 충남과 대전이 공공기관 이전이나 지역인재 채용 등에 불이익을 받고 있지만 각 시·도는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지역별 산업 육성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먼저 부산 혁신도시는 '대륙과 해양이 만나는 해양수산, 영화 금융의 중심'을 주제로 총면적 935㎡ 규모의 산업군별 4개 지구로 조성됐다. 영도구 동삼지구는 해양과 수산, 해운대구 센텀지구는 영화와 영상, 남구 문현지구는 금융과 산업이 주력 기능군이다. 남구 대연지구는 주거지 기능을 수행한다. 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13개 공공기관도 지구별 특성에 맞춰 입주했다. 기관에서 근무하는 인원은 3300명에 이른다.

대구 혁신도시는 최고의 교육과 문화, 의료, 교통 인프라를 내세우고 있다. 의료기기와 신약 생산, 주거와 교육학습, 비즈니스, 이전공공기관 소재지, 주거지 등 지구별로 나뉘었다. 한국장학재단과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11개 기관도 지구별 목표와 부합하는 곳에 터를 잡았다.

광주와 전남의 공동 혁신도시인 '빛가람 혁신도시'는 전남 나주시 금천면과 산포면 일원 730㎡에 조성됐다. 전력산업과 정보통신, 농업이 기반인 만큼 유관기관인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농어촌공사 등 모두 16개 기관이 자리를 잡았다. 상주 근무 인원만 6900명에 달한다. 

전북 혁신도시는 만성동부터 중동, 완주군, 반교리 등 총면적 9852㎡ 규모로 총사업비 1억 5000만여 원이 투입됐다. 면적과 사업비 규모만 보면 혁신도시 10곳 중 으뜸이다. 전통 농업과 첨단 산업을 잇는 생물·생명산업의 메카를 구호로 내세웠고, 농촌진흥청과 국립식량과학원, 한국식품연구원 등 12개 기관도 수도권에서 이곳으로 내려왔다.

울산은 에너지 산업과 근로복지, 산업안전, 강원은 관광, 생명건강, 자원개발, 경북은 교통과 첨단과학기술, 경남은 주택건설과 산업 지원, 제주는 국제 교류, 충북은 인력개발과 과학기술을 특색으로 내세웠고 관련 기관도 이주해 왔다.

이처럼 혁신도시 건설에 발맞춰 지방 이전 대상 수도권 공공기관 154곳 중 소재지를 옮긴 기관은 151개 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한국에너지공단,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나머지 기관은 최근 이전을 마쳤거나 이전을 앞두고 있다.

반면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전국 14개 시도에 지정된 국가혁신 융복합단지(클러스터)의 경우 이전 공공기관이 입주한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지역의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에 박차를 가하게 되는 만큼, 혁신도시로 지정받지 못한 충남의 소외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도민이나 내포신도시 활성화, 지역의 주력 산업 발전 등의 측면에서 보면 혁신도시 지정은 당연한 일"이라며 "무엇보다 내포신도시를 환황해권 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 공약을 실현하려면 혁신도시 지정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