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의 부산지역 마스크업체 선정 논란에 대한 본지 속보기사는 시사하는바가 크다. 그 핵심은 한마디로 책임있는 교육당국의 모습은 온데간다 없다는것이다.
그 의미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시교육청이 학교에 보급된 불량 마스크를 전량 회수키로 하면서 기존 업체와의 수의계약은 유지키로 한것으로 전해졌다.
명확한 해법없이 서둘러 봉합만 하려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이유이다. 납품된 마스크는 해당 납품업체를 통해 전량회수 조치되며 검사검수 완료후 재배송할 예정이다.
이를 둘러싼 설왕설래가 일고있다. 전교조 대전지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뒤늦게나마 결자해지가 이뤄진것은 다행이지만, 대전시교육청은 입이 열개라도 할말이 없게 됐다”고 논평을 낸것도 그중의 하나이다.
그러면서 “우리 아이들이 사용할 면마스크의 품질을 제대로 확인하지도 않은채 덜컥 수의계약을 맺었고, 마스크 품질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고도 즉각적인 전량회수를 추진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안전성이 검증된 필터 교체형 면마스크가 일반에 보급되고 있는 현 시점에 왜 무필터형 면마스크 제품을 장당 1500원이라는 비싼 가격에 보급하겠다고 고집을 부리는지 이해할수 없다는 반응이다.
시교육청은 이같은 지적을 곰곰이 따져보고 보다 효율적인 해법을 제시해야 할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효율적인 해법은 누구나 공감할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의미한다.
그것만이 말도많고 탈도많은 작금의 민원을 해결할수 있는 유일한 처방이라 여겨진다. 그 이면에는 본지가 앞서 언급했듯 누구하나 책임을 지거나 사과를 하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재차 지적하지 않을수없다.
결코 간과할 사안이 아니다. 본지는 이와관련해 아무리 코로나19 비상시기에 신속을 요한다해도 초.중.고 학생들이 사용할 마스크제품이 소비자를 충족시키지못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뿐이라고 지적한바 있다.
그것도 그 대상이 대전시시교육청 산하 학생용이라는 점에서 보다 신중을 기했어야 했다는 여론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향후 재발방지 약속도 중요하지만 모든일에는 순서와 절차가 있기 마련이다. 더 늦기전에 불거진 의혹에 대해 명쾌하게 해명하는것이 급선무이다.
대전시교육청은 지금이라도 사안별로 제기된 기존의 지적사항을 소상히 설명하고 납득할수 있는 후속조치를 강구해야 할것이다. 그것이 공감을 얻을 때 대전시교육청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신도 사라지게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