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일자리 편중대책이 시급하다
[사설]일자리 편중대책이 시급하다
  • 충남일보
  • 승인 2010.03.18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이 10%를 육박하면서 실효적 대처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급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자리 10개중 7개가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지방일자리 확대 방안이 시급하고 이같은 편중 해소에 정부가 효과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구직자들의 이중고를 유발하는 이같은 결과는 취업포털 스카우트가 상반기 공채시즌을 맞아 자사 홈페이지에 등록된 채용공고 1만510건을 분석한 결과 서울·수도권(경기, 인천)이 무려 71.7%(7546건)를 차지했으며 영남권(1545건)은 14.8%로 수도권 다음으로 많았다.
하지만 충청권은 전체의 7.8%인 824개에 그쳤으며 호남권(4.3%, 452개), 강원권(0.7%, 74개), 제주권(0.7%, 69개) 등도 열악한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서울(4587건)이 43.6%의 수치에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역별로 이를 살펴보면 경기도(25.7%), 경상남도(7.6%), 충청북도(4.0%), 전라남도(2.7%), 부산시(2.5%), 인천시(2.4%), 충청남도(2.3%), 울산시(2.3%), 대전시(1.5%), 대구시(1.3%), 경상북도(1.1%), 광주시(1.0%), 강원도(0.7%), 제주도(0.7%), 전라북도(0.6%) 순이었다.
6대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 인천, 울산, 대전, 대구, 광주 순서로 집계돼 광역시 중 광주시의 일자리 상황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방구직자들이 직업을 위해 서울 등으로 가야하는 왜곡된 편중구조가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상대적 빈곤에 시달리는 지방들의 악순환 구조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정책설정에 있어서도 일자리분야는 이때문에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만들어 질 것이 자명한 것으로 생산과 소비구조의 왜곡과 함께 지방의 피폐가 여전히 서울과 수도권의 집중현상에 영구종속될 것이 우려된다.
더구나 사회적 일자리 편중이 교육정책의 실효성과 지나친 엇박자를 가져오면서 구조적인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있어 교육과 연계된 구직직종의 다양화가 연결되지 않게 되면 이같은 왜곡을 결코 막을 수 없다.
때문에 이번에야 말로 구조적인 산업구조조정기획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