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19 혁명 바른 규명이 필요하다
[사설]4·19 혁명 바른 규명이 필요하다
  • 충남일보
  • 승인 2010.04.15 1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생운동이자 시민운동이었던 4·19 혁명이 제도화된 것은 박정희 정권과 문민정부의 정치적 정당성을 위해서였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혁명의 정체성 확립이 바르게 재정립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이는 제도화 과정에서 지난 정권이 이를 바로세우지 않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4·19 의거는 지난 1962년 마산의 3·15 의거탑과 1963년 서울의 4·19 기념탑이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의해 세워진 것은 쿠데타를 통한 국가권력의 장악을 정당화하는 동시에 혁명의 열기에 정치적 화상을 입지 않기 위한 포섭 전략으로서의 제도화됐다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은 대통령에 취임하며 ‘4·19와 5·16의 혁명이념을 계승한다’는 취지를 담은 연설을 한 것도 취약한 정통성을 4월혁명에서 창출하려던 것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박정희 전 대통령이 4·19 혁명 일부를 제도화한 것은 혁명 열기를 일시적으로 포섭하기 위함일 뿐이었다는 것이라면 이는 잘못이다.
이는 4월혁명이 박정희 정권하에서 4·19 의거로 축소됐다는 점과 박정희의 1965년 연설 4·19 의거 제5주년 기념일 기념사의 내용중 4월만 들어서면 학구에만 전념해야 할 학생들의 일부가 꼭 정치에 간여해야만 하겠다는 풍조가 있는 만큼 학생의 할 일이 따로 있고, 정치인이 할 일이 따로 있다고 밝힌 데에서도 구분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출범한 문민정부도 역시 4·19 혁명을 끌어안아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는 주장 역시 3당 합당을 통해 집권했다는 정치적 취약성을 갖고 있던 문민정부가 민주화 운동을 끌어안는 제도화 프로젝트를 펴 이를 극복하려 했다는 점에서 시비가 가려져야 한다.
이처럼 그동안의 정권들에 의한 제도화는 4·19 혁명을 안정적으로 기념사업화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줬지만 한편으로는 시민운동 내부의 기억투쟁 효과를 분산시켰다.
즉, 제도권이 기념사업의 주체가 되면서 사회운동 세력이 주변화됐고 기념사업 자체도 형식적으로 변모한 것이다.
미완의 혁명으로 불리는 4월혁명의 역사적 완결성은 혁명 정신을 계승하려는 기억운동에 달려있는 만큼 현행 형식주의의 잘못에 대한 시비가 보다 명확히 가려져 순수한 정신의 계승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