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이버보안정책 더욱 강화해야
[사설] 사이버보안정책 더욱 강화해야
  • 충남일보
  • 승인 2014.12.22 0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소니사의 영화해킹으로 불거진 논란과 함께 한국 내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보안구멍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원자력발전소 해킹사건은 그 원인조차 찾지 못할 정도여서 특히 파장이 클 것이 우려된다.
연이은 한국수력원자력 내부 문서가 인터넷에 공개되면서 벌써 네번째 공개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당국의 수사는 겉돌고 있어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원전반대그룹 회장이라고 밝힌 범인은 어제 압축파일 4개를 트위터에 올렸다. 고리 2호기와 월성 1호기 관련 내부 문서, 원전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인 MCNP5와 BURN4 매뉴얼을 공개했다. 협박도 한다. ‘청와대 아직도 아닌 보살’이라는 제목의 트위터 협박문을 통해 “이런 식으로 나오면 미공개 자료 10만여 건을 공개하겠다.”고 위협했다. “크리스마스에 (원전 가동이) 중단되는 게 안 보이면 자료 전부 공개하고 2차 파괴를 실행할 수밖에”라고 썼다.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전면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어제 올린 글은 한수원과 원전에 대한 공격을 예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원전 테러’ 협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이하 소니)에 대한 해킹 공격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공식 발표한 뒤 ‘비례적 대응’을 천명했다.
미국이 해킹 사건과 관련해 특정 국가에 책임이 있다고 공식으로 지목한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북한이라고 단정할 명백한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다.
연방수사국(FBI)은 북한 내 인프라와 관련된 몇 개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와 이번 공격에 사용된 악성소프트웨어 내장 IP 주소 사이에 교신이 이뤄진 점을 밝혀냈다. 또 이 수법은 북한이 지난해 3월 우리 금융기관과 언론사 등에 저질렀던 사이버 공격 수법과 매우 유사하다.
원자력정보유출도 마찬가지다. 아직 소행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번 사태는 원전 보안에 큰 구멍이 뚫려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이런 식으로는 원전 안전과 국가안보를 지켜내기 힘들다. 원전 안전에 구멍이 없는지 총체적으로 재점검해 한 점 빈틈없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사이버 테러는 총성 없는 전쟁이다. 미국이 최근 사이버 영토를 육·해·공·우주에 이은 ‘제5의 전장’으로 삼고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도 북한의 디도스 공격 이후 대남 심리전과 사이버 테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0년 국군사이버사령부를 창설했다.
하지만 정치 댓글 의혹 사건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공격도 서슴지 않는 북한의 사이버 테러를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비상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철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