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암울한 인구통계, 국가적 역량 총동원해 대처해야
[사설] 암울한 인구통계, 국가적 역량 총동원해 대처해야
  • 충남일보
  • 승인 2019.06.27 15: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결과가 나왔다. 예상대로 매우 암울하다. 생산연령인구와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노년부양비의 급증 등 하나같이 우리 미래에 큰 위협이 되는 수치들뿐이다.

저출산의 영향인데, 문제는 이 추세가 개선될 기미도 없고, 개선할만한 묘안도 안 보인다는 점이다.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자료를 보면 전국의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3757만명에서 2047년 2562만명으로 31.8%(1195만명) 감소할 전망이다. 총인구 중 비중도 73.2%에서 52.4%로 쪼그라든다. 이에 비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이 기간 707만명에서 1879만으로 2.6배 정도 증가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유소년·고령인구인 ‘총부양비’는 36.7명에서 90.9명으로 세배 가까이 뛰고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지수’는 4배 가까이 높아진다.

태어나는 아이가 적다 보니 학령인구(6∼21세)는 급감한다. 846만명에서 524만명으로 38.0% 감소할 전망이다. 한 세대 뒤에는 교실이 텅 비고, 노인정은 북적거리게 생겼다.

저출산이 갈수록 심화하기 때문에 이런 추계치는 일찌감치 예상됐던 일이다. 출생아 수는 올해 4월 2만6100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41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인구가 줄면 입시경쟁도 줄어들고 취업도 쉬워질 것이라며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감당하지 못할 경제위기가 그보다 훨씬 빨리 닥칠 것이라는 점이다.

생산인구가 이 정도로 급감하면 국내총생산(GDP)도 현격히 감소할 수밖에 없다. 먹여 살려야 할 인구는 그보다 훨씬 천천히 줄어든다. 즉 부양해야 할 인구는 많은데 생산인구는 적은 기간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그때 경제 운용에 탈이 날 수밖에 없다. 적절한 인구구성을 가진 시기에도 작은 내·외부 변수가 발단이 돼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 이때는 적절한 정책과 온 국민의 합심 노력으로 위기를 극복할 여지가 있다. 우리가 겪은 98년 외환위기 때 그랬다. 하지만 인구구조가 추계치 수준이 된다면 위기극복은 힘에 부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6년부터 11년간 126조4720억원의 재원을 투입했지만 저출산 추세를 막지 못했다. 작년 12월에는 저출산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며 출산장려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저출산 대책을 그만둘 게 아니라 성과를 낼 때까지 계속해야 하는 이유다.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꾸준히 모집하고 과감히 실행해야 하며, 부진할 때는 책임을 묻고 새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