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학 연기, 선제적 교육정책 세워라
[사설] 개학 연기, 선제적 교육정책 세워라
  • 충남일보
  • 승인 2020.03.02 1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는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의 확산이 무서운 속도로 번지자 모든 초중고교의 개학을 다시 1주일 연기시켰다. 초·중·고교는 개학이 9일로 연기됐고 대학들도 자율적으로 개강을 1~2주 미뤘다.

우한 폐렴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선제적으로 학사 일정을 대폭 늦추고 수업 결손을 메우기 위한 근본 대책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사태가 진정되기만 기다리며 이슈에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선 조치로 위협 요인을 줄이거나 현장의 고충을 해결할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대학 유학생 관리는 ‘대학 자율’이란 미명 아래 교육 당국은 팔짱만 끼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교육 당국은 42억여 원의 예비비를 마련했지만 정작 중국인 대학 유학생들의 자가 격리는 방치나 다름없다. 중국인 대학 유학생이 가장 많은 경희대(3839명)는 2주간 기숙사 자가 격리를 택한 유학생은 480여명에 불과했다.

성균관대(3330명)도 100여 명, 중앙대(3199명)는 80여 명뿐이다. 나머지 유학생들은 하숙집 등 별도의 거처에 머물게 된다. 이들은 대학별로 매일 전화로 체크한다지만 실제 ‘격리’가 될지는 미지수다. 중국 유학생들이 집 밖으로 나와 돌아다녀도 막을 방법이 없다. 대학은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전화로 그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한다고 하지만 형식적 문답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또 전국 611만 명의 학생이 다니는 유치원과 초·중·고교는 더욱 심각하다. 학교는 지역사회의 중요 거점이다. 각 가정은 물론 학원 등 주변 상권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한 명의 환자가 다수를 감염시킬 수 있다.

밀폐된 공간에서 밀접 상태로 장시간 머무르면 전파력도 강해 질 것이다. 집단시설의 감염 사례를 볼 때 학교가 뚫리면 그 피해는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사태가 진전될 때까지 개학을 추가 연기해야 마땅하다.

찔끔찔끔 한주씩 계속 연기해선 혼란만 키운다. 교육부는 교육 결손을 메우기 위한 방법을 내놔야 한다. 대학도 마찬가지다. 교육부는 ‘원격 강의 20% 제한’ 규정을 한시적으로 폐지했지만 개별 대학이 대응하기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우리는 어떤 나라보다 뛰어난 IT 기술을 갖고 있어 어디든 노트북만 켜면 강의실이 된다. 학교의 휴교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교육부는 일선 교육 현장에 맞는 선제적인 대책을 세워 주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