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일논단] 나무를 심자
[충일논단] 나무를 심자
  • 서중권 폅집이사
  • 승인 2012.04.22 1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이 되면 푸른 대지를 북돋우기 위해 나무를 심어야 한다.
나무 심는 계절에 생각나는 일은 산불 조심이다.
도시의 먼지공해를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키 위해서는 숲을 가꾸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식목일을 전후해서 발생되는 산불은 심는 나무보다 더 많은 녹지를 훼손시킨다.
정부는 지난 2일 ‘산불방지 발대식’을 갖고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주요지역의 산불예방 감시체제에 돌입했다.
이를 위해 산불 감시용 헬기도 새로 도입했다. 특히 건조기에 발생하는 산불은 대형화돼 한 해 동안 심는 나무보다 더 많은 산림자원을 소실시킨다.
올해는 겨울날씨가 기승을 부려 봄이 늦게 찾아왔지만 여전히 대지는 건조하고 메마르다. 수목이 너무 건조하고 메말라 산불 발생률이 예년보다 높을 것으로 우려된다.
산림청 집계에 의하면 지난 5년간 산불발생은 연 평균 2715건으로 막대한 재산을 소실시켰다.
한번 산불이 발생하면 훼손된 산림을 복구시키는데 40년이란 세월이 필요하다.
최근에 발생된 산불 중 영동지구와 동해안에 발생된 산불은 2만5000ha가 소실됐고 수년 전엔 주요 문화재인 낙산사가 전소됐다 주변의 주택까지 번져 재산 손실도 막대하다.
3~4월에 집중 발생되는 산불은 연간 발생되는 산불의 60%에 달하며 이중 70%가 등산객 입산자와 성묘객의 담뱃불이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대지의 64%가 산림으로 형성된 산림국가다.
지난 1973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한 조림사업으로 모든 산림이 울창하게 조성됐으나 최근 산불 발생이 많아 연간 식목으로 조성되는 녹지보다 산불로 인한 산림피해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화재가 많이 발생되는 영동지구는 고르지 못한 날씨와 강풍 등으로 한번 산불이 발생되면 주변 임야로 번져 피해가 막심하다.
산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등산객이나 성묘객의 입산금지는 물론 국보 제1호의 숭례문 화재사고처럼 사회 불만 자나 정신이상자의 고의적인 발화사건도 배제할 수 없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대기 오염이 늘어나면서 면역력이 약한 도시의 가로수나 산림지역에 새로 식재한 나무들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있다.
자생력이 강한 은행나무도 차량이 내뿜는 일산화탄소로 입이 누렇게 변색되고 녹음이 짙어야 할 여름철에도 가로수가 활기를 잃고 있다.
각 지자체는 가로수 보호에 안간힘이다. 도시 미관을 위해 가로수는 벚나무 식재가 늘어났다. 봄이 되면 남쪽지방부터 만개하는 벚꽃은 장관을 이룬다.
진해 벚꽃축제를 비롯해 지리산 자락의 쌍계사, 논산, 대구, 수원, 시흥지방을 거쳐 여의도에 이르기까지 꽃 무대가 장관을 이룬다.
산에 심는 나무들은 경제림인 소나무나 낙엽송 등이 대종을 이루고 있으나 지난 2005년부터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으로 전국 소나무들이 고사되고 있어 수종갱신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농가 주변의 야산에는 유실수를 선호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농촌 경제가 어려움에 따라 특용 작물이나 경제력 있는 유실수 등의 조림이 두드러지고 있다.
산에 심는 나무도 밤나무나 배나무, 잣나무, 감나무 등 수종갱신이 느는 추세다.
상주지역은 감나무 등을 많이 가꾸어 지역특산품인 곶감이 유명하고 안성, 김포지역은 포도가 유명하다. 경기도, 충청도, 충주 지역은 사과가 특산물이다.
산림청은 한국 토양에 맞는 지역별 경제림 조성을 위해 올해는 생산된 과수 묘목을 집중 공급할 방침이며 산주들이 실시하는 경제림 조성도 강화키로 했다.
산림청은 올해 식목기간을 종래보다 연장 지난달1일부터 오는 30일까지 2달간을 식목기간으로 종래보다 1개월을 연장했으며 지역별로 필요한 수종별 묘목은 이미 공급을 완료했다.
한국의 임야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재래식 수종이 점차 퇴보하고 열대림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열대림은 하절기에는 왕성한 번식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나무들은 건축용 목재로는 부적당하다.
산림청에 따르면 수목원의 연구 결과에 따라 앞으로 지역에 맞는 수종을 선택 집중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4월 많은 나무를 심어 이 땅을 더욱 푸르게 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