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귀농·귀촌 꿈 지원환경이 필요하다
[기고] 귀농·귀촌 꿈 지원환경이 필요하다
  • 김홍열 충남도의회(농수산경제위원회) 의원
  • 승인 2013.08.25 1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후 1955~1963년에 태어난 거대 인구집단으로서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화시대를 이끈 주역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학력이 높고 경쟁력을 갖춰 석유파동이나 외환위기, 카드사태 등 수차례의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70~80%대의 높은 고용률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된 직장에서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고용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이들은 인간의 자연 회귀본능에 의한 전원생활을 통해 다양한 삶을 추구하고, 정년 없는 직장의 매력으로 인한 귀농·귀촌을 꿈꾸고 있다.
농업기술원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0~2012년 시·군별 귀농·귀촌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충남 귀농 1214가구 2112명(전국 1만1220가구의 10.8%)으로 2011면 1110가구보다 9.4% 증가했으며, 귀촌은 319가구 672명(전국 1만5788가구의 2.0%)으로 일부 감소한 해도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의 귀농·귀촌은 주로 경제적 동기에서 이루어진 IMF직후의 귀농·귀촌과는 달리 다양한 동기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적인 추세로 농촌생활 선호, 본격적인 농사, 은퇴 후 여가생활 등을 영위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베이비붐세대의 은퇴는 노동력의 감소, 재정건전성 악화 등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가져오며, 풍족하지 못한 자산 등 노후대비 부족으로 고령빈곤층으로 전락 가능성이 높아지고, 다양한 대중문화의 유입과 진화, 경제·사회적 성장을 동시에 경험한 뉴 시니어는 소비시장에서 뉴 시니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추세에 있다.
귀농·귀촌은 1인당 169만원의 사회적편익을 창출하고, 농어촌 고령화 문제 해소 등 농어촌 지역의 종합적인 발전에도 기여함으로써 귀농 유입과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다양한 교육과 기술을 지원하여야 한다.
정부도 귀농·귀촌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2009년부터 농지·주택 구입자금 융자, 교육, 정보제공 등 지원 대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성공사례는 일부에 불과하고 경제적인 불안정, 지역정보의 부족, 영농경험 불충분 등 정착에 애로를 겪고 있어 정책보완을 통해 안정적인 귀농·귀촌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처음 귀농을 준비하는 대상자들에게는 작물의 재배기술 부족도 문제이지만, 안정적 정착을 위한 마을주민들과 거리를 좁혀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착에 문제가 되는 체계적인 귀농·귀촌교육, 지역내 소통 및 갈등해소기구 마련, 생계형 귀농의 경제적인 어려움, 농지구입 및 임대문제, 주거지 확보문제, 맞춤형 귀농·귀촌지 선정,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소득원 선정, 행정지원 및 정부지원관련 서류, 농한기 취업문제, 지역의 냉대와 편견, 농촌사회 적응상 고민해결의 어려움, 건강 및 노후생활문제, 귀농·귀촌소식지 발행 등 다양한 사례들을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귀농·귀촌의 성공적인 농촌정착으로 노년의 삶이 안정적이고, 농촌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는 인심 좋은 농어촌에서 잘살 수 있고, 멋지게 뿌리 내리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