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환율불안 등 경제변수에 선제적 대응 필요하다
[사설] 환율불안 등 경제변수에 선제적 대응 필요하다
  • 충남일보
  • 승인 2014.01.05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활성화를 정책 1순위로 추진할 예정인 정부가 연초부터 중국불안과 환율불안 등 악재가 대두되면서 이를 극복할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환율불안은 새해 벽두부터 원화 가치가 강세를 보이며 환율이 올해 한국 경제의 최대 복병으로 부상했다.
원화 가치의 강세는 수출 감소로 이어져 이제 겨우 기지개를 켜려고 하는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올해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강세나 엔화 약세는 사실 일정 부분 예상된 흐름이지만 새해 경제계에 아킬레스로 등장했다.
지난해 연말 원·달 환율은 달러 당 1055.4원으로, 전년말보다 15.2원 떨어지면서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가치는 1.4% 절상됐으며 특히 엔화에 대해서는 같은 기간 이미 23.6%나 절상된 상황이다.
지난해 연간 무역 흑자가 442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외환보유액도 갈수록 늘어나는 만큼 불가피한 현상이기도 했다.
여기에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바탕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은 양적완화 축소에 나서면서 ‘엔저(低), 원고(高)’의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초 원·엔 환율이 1000원 선 밑으로 떨어지면서 시장에 형성된 위기감은 크다.
원·엔 환율이 하락하면 양국 산업이 경쟁 관계에 있는 품목군에서 일본의 수출은 늘고 한국의 실적은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당장 수출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면서 연초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수출기업의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문제는 그 영향이 개별 기업의 실적 악화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00엔당 1123원 수준인 연평균 엔·달러 환율이 올해 954원으로 떨어지면 총수출은 3.2% 감소할 것으로 최근 추정했다.
이는 올해 엔ㆍ달러 환율이 100엔까지 오르고 원·달러는 1050원대로 떨어지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품목별로는 철강(-5.0%), 기계(-4.6%), 자동차(-4.5%), 석유화학(-4.4%), IT(-2.5%) 등 순으로 타격이 컸다.
이를 결론하면 서비스 수지나 내수 등은 따지지 않고 수출 감소에 의한 영향만 보면 성장률을 0.1∼0.15%p 낮추는 셈이다.
앞서 지난해 한 국재연구소는 경제전망을 통해 미국의 출구전략, 국제금융 시장 불안 등과 함께 아베노믹스(엔·달러 환율)의 영향을 주요 리스크로 꼽았다.
보고서는 엔·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실질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첫해에 0.23%, 둘째 해에 0.51% 각각 주는 등 4년 간 연평균 0.58%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환율불안으로 환율에 따라서는 수출감소로 정부가 애초 전망한 성장률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관건은 환율수준이다.
경제활성화에 복병으로 등장한 환율불안 등 변수에 능동적이면서 선제적 대응에 신중을 기해 당초 목표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