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물가 고통’ 부자의 3배
빈곤층 ‘물가 고통’ 부자의 3배
저소득층, 농수축산물·주거광열비 인상에 체감물가 ‘껑충’
  • 전혜원 기자
  • 승인 2017.02.13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통·교육비 지출 많은 고소득층은 저유가 영향으로 낮아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소득계층별 물가지수 도입해야”


자고나면 오르는 식료품 가격급등으로 저소득층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고소득층보다 무려 3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식료품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은 채소 등 신선식품 인상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반면 교통비 지출이 높은 고소득층은 계속된 저유가로 체감물가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5년 소득 10분위별 지출비중을 가중치로 물가지수를 각각 도출한 결과 최고소득 구간인 10분위의 연간 물가 상승률은 0.41%에 그친 반면 1분위는 1.33%로 3배가량 높았다.

김종민 의원실은 2012년 물가지수를 100으로 봤을 때 2013∼2015년 3년간 지출비중을 고려한 소득구간별 물가지수 상승률을 각각 산정했다.

그 결과 소득이 많은 구간일수록 지출비중을 고려한 물가 상승률이 더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1분위가 1.3%로 가장 높았고 2∼5분위까지는 그보다 낮은 1% 내외의 상승률을 보였다. 6분위부터는 상승률이 1% 밑으로 떨어진 데 이어 10분위는 0.41%까지 주저앉았다.

소득구간을 5개 분위로 나눠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됐다.

소득 1분위의 2015년 물가 상승률은 1.2%인 반면 소득 5분위는 1분위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 0.5%에 그쳤다.
소득 구간별로 물가상승률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소비자 물가를 측정할 때 기준으로 삼는 품목의 지출비중이 소득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식료품·주거수도광열비(주거비와 전기료, 수도료, 연료비 등) 지출비중이 높은 반면 고소득층은 교통비·교육비 지출비중이 높다.

2012년 기준으로 1분위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비중은 23.6%였지만 10분위는 11.1%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식료품 등 가격이 오르면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체감물가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는 구조인 셈이다.

실제로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7%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2.1%나 오르며 물가상승을 견인했다.

교통비의 경우 10분위 지출비중은 14.4%로 1분위(7.4%)의 두 배에 달한다. 고소득층의 체감물가가 유가 영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2015년은 저유가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를 0.98%포인트 깎아내리는 효과를 냈다.

이런 영향으로 10분위 물가 상승률이 1분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이라고 김 의원실은 분석했다.

통계청은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 비중이 총액의 1만분의 1 이상이면서 특정 상품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고 시장에서 가격 조사를 지속해서 할 수 있는 품목을 선정해 물가지수를 조사·선정하고 있다.
소비성향 변화 등을 반영해 0, 2, 5, 7로 끝나는 연도마다 물가지수 가중치도 개편하고 있지만 아직 소득계층별 차이는 반영하지 않고 있다.

김 의원은 “통계청의 소비자 물가지수와 국민의 체감물가 사이 격차가 좀체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 발표 물가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소비지출 비중을 반영한 계층별 물가지수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충남일보 전혜원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