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경] 비정규직 법률안 부작용 우려
[확대경] 비정규직 법률안 부작용 우려
  • 박해용 경제부 차장
  • 승인 2007.08.19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사회 약자인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를 개선하겠다는 취지에서 시행한 비정규직보호법이 오히려 이들을 해고하는 원인이 된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있다.
실제로 이랜드에서처럼 비정규직보호법을 회피하려는 목적의 계약 해지와 외주화 등이 건설 현장을 비롯한 산업 전 분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도 비정규직보호법을 둘러싼 노사간 갈등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방지할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더군다나 내년이면 비정규직 해고움직임이 대량화 될 것이어서 이에대한 대책마련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비정규직보호법에 따라 상시적이고 연속적인 업무에 2년 이상 고용된 기간제 근로자는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지만 사업주가 이를 회피하려고 해도 별 제재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법 취지에 따라 노사에 사회적 책임과 양보만을 계속 호소할 수도 없는 일이다.
출발부터 이해 당사자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개정 및 보완 압박을 받고 있는 비정규직보호법의 문제점으로 노동계에서는 사용기간 2년, 불확실한 차별근거 등을 꼽고 있다.
비정규직보호법이 규정한 차별의 불확실성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비교 대상의 핵심인 임금 부분도 직무급 등 임금체계 변경을 통해 차별 시정을 회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점들은 학계에서도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노동계는 일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만 비정규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사유제한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정부도 노동계나 학계가 지적하는 문제점을 인정한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문제점들은 법 시행 이전 5년여 동안 노사정간에 격론을 벌였던 사안이다.
하지만 어떤 사안이든 노사 한쪽의 희생이 뒤따라야 한다는 데 선택의 어려움이 있다. 고용안정과 비정규직근로자 보호라는 법 취지의 양면성 때문이다. 사업주 입장에서는 비정규직근로자를 보다 싼 인건비로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노동자는 고용안정과 차별 없는 처우를 추구한다. 노사 양측 모두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이유다.
그러나 당장 법 개정 작업을 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노사정간에 어렵게 합의, 도출된 법을 제대로 시행도 해보지 않고 바꾼다는 것은 더 큰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용역 전환 방지를 위한 간접고용 규제, 정규직 전환 기업에 인센티브제 등 보완책 마련에는 동의하고 있다.
정부가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황들을 지켜보면서 보완점을 찾아 나간다는 방침이지만 대량해고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이미 늦게된다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
노동부가 이 법의 시행에 있어 정착되는데 필요한 기간을 잘 지켜본 뒤 1년 후쯤에나 개정 사항을 검토할 것이라니 언제나 문제후 이를 막아내는 관행이 등치고 배만지는 식의 우려만 키우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안이지만 고용주를 압박만 한다고 될 수 있는 일이 아닌만큼 한쪽을 막으니 다른쪽이 터지는 그런 우를 범치않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