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숭동(韓崇東)의 힐링캠프] 다문화교육을 준비하자
[한숭동(韓崇東)의 힐링캠프] 다문화교육을 준비하자
  • 한숭동 前 대덕대 총장·국립한국교통대학교 석좌교수
  • 승인 2013.06.23 1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구한 역사와 단일민족임을 나름대로 자랑스럽게 여겼던 우리는 이미 다문화사회의 문턱을 넘어섰다. 현재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이 150만명에 이른다. 외국인노동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등으로 해마다 10% 이상씩 늘어만 가고 있다. 2040년에는 인구의 10%대인 이주외국인 500만명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결혼이민자는 전국에 현재 약 30만명, 다문화자녀는 15만명 정도다. 대전은 이주 외국인 2만4000명, 결혼이민자 6000명, 다문화가정 자녀가 3000명 수준이다.
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은 이미 외국인 주민이 10%를 넘는다. UNESCO, 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다문화가정 문제가 중요 의제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 조상들은 단일민족임에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 왔다.
이젠, 단일민족만을 집착하기보다는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사회통합을 실현해야 선진국의 문턱을 넘을 수가 있다.
우리 사회는 세계 최저 출산율과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로 이미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초·중·고교의 학령인구(學齡人口)는 연평균 약 22만명이 감소하는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매년 약 6000명 이상 증가한다. 2014년에는 다문화 학생이 전체 초·중·고생의 1%를 넘어설 전망이다.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경제활동 인구가 늘어나고 문화적 다양성이 증대되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문화적 충돌과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문화자녀들의 경우 외국인 엄마들의 원활하지 못한 한국어 구사는 자녀들의 늦은 언어발달로 이어진다. 대다수 다문화가정은 교육적 환경과 기능이 취약해 기초 학습능력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로 인해 학업이 부진하고 학교에서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기 일쑤이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반이 취약한 다문화가정 학생이 정규교육으로부터 소외당하지 않고 교육격차도 없도록 해야 한다.
다문화 학생들을 우리 사회에 일방적으로 동화시키는 정책보다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공립 대안학교 형태는 효율적인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지난해 대전시 교육청은 용문동에 직업훈련학교와 공립 대안학교를 동시에 담는 ‘대전용문학교’를 추진하려다 전면 백지화가 된 적이 있다.
당시 박범계 국회의원도 추진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완전히 망각한 점, 용문동이라는 힘없고 작은 동네의 자존심에 커다란 상처를 준 점은 교육을 책임지는 대전시교육청의 올바른 자세가 아니라는 점을 지적했다.
다문화사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이다. 언어와 문화 차이 때문에 결혼 후 3개월∼1년이 가장 힘들다고들 한다.
인천 교육청은 올 봄 국내 최초로 기숙형 공립 다문화 대안학교인 ‘한누리학교’ 문을 열었다. 한누리학교는 총 14학급으로 초등학교 6학급과 중학교 3학급, 고등학교 3학급, 210명 정원으로 구성됐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일반학교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언어문제다. 한국어가 서툴거나 한국문화에 익숙치 못한 학생들에게는 1년 동안 한국어 교육 등을 통해 일반학교 진학을 도와주는 디딤돌 역할을 한다.
다문화학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경쟁력 있는 미래의 일꾼들로 양육된다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다문화 자녀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한다면, 결과적으로 국가에도 큰 보탬이 된다.
다문화시대로 진입하면서 우리의 교육은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다문화가정은 저 출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에 소중한 동반자이자 미래의 자산이다. 문화적 차이와 갈등을 적극 해소하고 협력과 협동으로 잘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의 첫 단추를 끼우는 작업은 바로 교육에서 시작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