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재인 정부, 민생·성과로 민심 응답해야
[사설] 문재인 정부, 민생·성과로 민심 응답해야
  • 충남일보
  • 승인 2018.11.27 17: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50%대 초반으로 하락하고, 일자리와 소득 분배 등 여러 경제 지표들이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국정에 경고음이 들어오고 있다. 지지율의 등락에 일희일비할 것은 아니지만 국정 지지율은 민심의 흐름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청와대는 지지율 하락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옷깃을 여며야 할 때다.

26일 발표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8주 연속 하락해 52%를 기록했다. 취임 후 가장 낮은 지지율이다. 평양 남북정상회담 직전인 9월 2주 차 당시 집권 후 최저치였던 53.1%보다 더 떨어진 것이다.

최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3분기 가계동향 조사와 10월 실업률도 더 악화했다는 지표 등으로 인한 경제·민생 악화 체감이 지지도 하락에 영향을 끼쳤다. 게다가 여권과 민노총의 갈등,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연루된 ‘혜경궁 김씨’ 논란 여파 등 여권 지지층의 분열을 초래한 사건들도 부정적 변수가 됐다.

어느 정권이든 정권 출범 초 치솟았던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집권 1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50% 넘는 지지율을 유지하기도 쉽지는 않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세는 경제 성적표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고 핵심 지지층 이탈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무게 있게 받아들여야 한다.

취임 초 민심은 전(前) 정권의 적폐를 드러내고 바로잡는 데 환호를 보냈지만, 이제는 현 정권이 개혁을 제도화하고 민생 경제를 살리는지 성과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 대목에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정서가 지지율 하락으로 표출되는 것이다.

일자리 정부를 내세웠지만 실업률은 더 높아졌고, 양극화 해소를 주창했지만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은 매우 아픈 대목이다. 원인은 복합적이다. 정책의 효용성 문제도 있고, 경제의 구조적 문제도 있을 것이다. 문 대통령은 2기 경제팀을 출범시키면서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 등 3대 경제정책 기조를 이어갈 방침을 천명했다. 경제 상황에 희망을 주는 신호를 줄 수 있다면 지지율은 반등할 것이다.

하지만 경제는 단기 승부가 아니다. 특히 구조적 문제는 전환 과정에서 경제 주체들의 인내를 요구한다. 그 때문에 문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 국민을 다독이고 설득할 가장 큰 힘은 대통령이 갖고 있다. 보다 더 적극적으로 경제 주체들의 고통 분담과 인내를 설득하는데 나서야 한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이고 각계 대표들을 더 만날 필요가 있다. 경제 참모들은 일사불란한 정책 메시지를 내되, 현장의 목소리에 더 귀를 열고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 구호만 요란하고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은 더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민은 구호와 주장만이 아니라 변화와 성과를 요구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